보도자료

에 의해 admin, 19 8월, 2025

독립운동사 축소 왜곡을 일삼는 김형석 관장은 즉각 퇴진하라!

독립기념관 이사회는 김형석 관장 해임 절차에 착수하라!

 

김형석 관장이 또다시 독립기념관장의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천명했다.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지난 8월 15일, 김형석 관장은 광복절 기념사에서“광복을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면 연합국의 승리로 얻은 선물”이라고 발언했다.

 

독립기념관장의 철학이라고 하기엔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망발이다.

독립기념관법에 따르면, 독립기념관은 국민의 투철한 민족정신을 북돋우며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는 데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김형석 관장의 그 발언과 생각 속에 과연 올바른 국가관이 있는지 묻고 싶다.

 

김형석 관장의 해명도 구차하기 그지없다.

에 의해 admin, 19 8월, 2025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보석, 늦었지만 사필귀정

 

오늘(19일), 재판부가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보석을 인용했습니다. 매우 상식적인 결정을 내린 재판부의 판단을 환영합니다. 

 

하지만 이 당연한 결정이 이렇게까지 늦어진 것은 유감스럽습니다. 오랜 기간 구금 상태에서 재판을 받아야 했던 김용 전 부원장에게 심심한 위로의 뜻을 전합니다.

 

에 의해 admin, 18 8월, 2025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 행동하는 양심을 이어가겠습니다

 

오늘은 민주화 운동의 상징,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입니다.

 

16년 전 유년기였던 세대는 이제 대학생이 되었고, 청년이 되었습니다. 그 사이 한국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겪었지만, 김대중 대통령이 염원했던 정의로운 사회는 여전히 우리의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께서 남긴 “행동하는 양심”이라는 말씀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정신과는 정반대로, 내란수괴 윤석열은 사회의 정의와 질서를 무너뜨렸습니다. 애국지사의 희생을 지우고, 사이비 종교와 독재자를 미화하며 민주주의를 거꾸로 돌렸습니다.

 

그럼에도 국민은 행동하는 양심으로 맞섰습니다. 차가운 겨울 광장에서 은박지 한 장으로 버텨낸 젊음이, 응원봉의 빛으로 혁명을 만들어냈습니다. 김대중의 행동하는 양심은 바로 그 광장에도, 지금 우리의 가슴 속에도 살아 있습니다.

에 의해 admin, 15 8월, 2025

윤석열·김건희 수용 전반 특혜, 철저히 밝혀야 합니다

 

법무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단독 변호인 접견 특혜를 중단하고, 서울구치소장을 전격 경질했습니다. 늦었지만 당연한 조치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 기간 동안 무려 395시간 18분, 328명과 접견했습니다. 이는 일반 수용자와는 비교조차 불가능한 수준의 특혜였으며, ‘법 앞의 평등’이라는 헌법 원칙을 정면으로 훼손한 것입니다.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는 두 차례에 걸친 서울구치소 현장 감찰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이 일반 재소자가 사용하는 변호인 접견실이 아닌 에어컨이 시원하게 가동되는 넓고 쾌적한 공무상 접견실을 단독 사용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이를 명백한 특혜로 지적하고, 시정 조치를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바로 이러한 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 적극적인 활동이 촉발한 결과입니다.

 

에 의해 admin, 14 8월, 2025

편리 뒤에 숨어 있는 노동의 얼굴을 기억하며
8월 14일은 ‘택배 없는 날’입니다. 2020년부터 시작된 이날은 과중한 업무와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택배 노동자들에게 최소한의 휴식을 보장하자는 사회적 합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팬데믹 시기 비대면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택배 물량은 전례 없이 늘었고, 그 무게는 고스란히 노동자의 어깨에 지워졌습니다.
2020년 한 해에만 과로로 숨진 택배 노동자가 16명, 이후 2025년 현재까지 누적 사망자는 약 40명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과로사로 인정된 사례만 36건에 이르며, 이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제도 개선 움직임도 있었습니다. 2021년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시행으로 분류 작업 책임이 택배사에 명시되고 인력 충원과 근로시간제한이 제도화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계약 구조의 불안정, 산재 처리 지연, 최저임금 보장 문제 등이 남아 있습니다. 특히 플랫폼 기반 물류 확산은 노동을 세분화 및 외주화하며 책임 소재를 더욱 불분명하게 만들고 있습니다.